2009년 2월 11일 수요일

막걸리 관련 보도자료


 

막걸리 이름
막걸리에는 이름도 많다. 희다 해서 백주(白酒), 탁하다 하여 탁주(濁酒), 집집마다 담가 먹지 않는 집이 없다 해서 가주(家主), 농사지을 때 새참이라하여 농주(農酒), 제사지낼 때 제상에 올린다 해서 제주(祭酒), 백성이 가장 많이 즐겨 마시는 술이라 하여 향주(鄕酒), 나라를 대표하는 술이라 하여 국주(國酒)다.

북한의 김정일위원장이 남한에서 정주영회장이 들고 간 막걸리를 마셔보고 맛을 칭찬하고 앞으로 많이 가져올것을 희망했다하니 막걸리는 남북 장벽에 작을 물꼬를 트는 통일주(統 一酒)라는 또 하나의 이름을 얻게 될 판이다.

막걸리에 오덕(五德)이 있다 했는데 그것이 한국적 풍토나 생업 그리고 한국인의 생태에 걸맞음을 알수 있다. 허기를 면해주는 것이 일덕이요. 취기가 심하지 않은 것이 이덕이고, 추위를 덜어주는 것이 삼덕이며, 일하기 좋게 기운을 돋워주는 것이 사덕이고, 평소에 못하던 말을 하게 하여 의사를 소통시키는 것이 오덕이다.

맛도 좋은 데다 실생활에 유익하고 덕까지 갖추었기 때문인지 이웃나라들에서도 이 토속주는 예부터 명주로 소문났었다. 한 (漢)나라때 낙랑주(樂浪酒)가 시문에 올라있고, 양(梁)나라 때 고구려 여인이 빚어 파는 곡아주(曲阿酒)의 명성이 문헌에 나온다.

한 잔 신라주의 기운이 /새벽바람에 사라질까 두렵구나고 읊은 것은 당(唐)나라 시인이상은(李商隱)이고-. 시기 300년 전후 일본의 응신왕(應神王)은 백제에서 건너가 후에 일본의 주신 (酒神)이 되는 수수보리가담가 바친 백제주를 마시고 이렇게 읊었다.
수수보리가 빚어 바친 술에 내가 취했네
마음을 달래주는 술 웃음을 부르는 그 술에 내가 취했네

중국과 미국 사이를 핑퐁이, 중국과 일본사이를 팬더가 오가면서 장막 거두는 상징작업을 했듯이 막걸리가 그 작업을 대행했으면 한다.

막걸리 수출

우리 역사에서 3大酒豪로 세조때 大提學 洪逸童과 성종때 정승 申用漑, 중종때 정승 孫舜孝를 든다 워낙 대식가(大食家)이기도한 洪逸童은 한끼에 떡한그릇, 국수 세사발, 밥세그릇, 두부국 아홉그릇 , 찐닭 두마리 어회 한쟁반씩을 먹는데 반주로서만 막걸리 40잔을 마셨다 한다.

그 잔이 보통잔이 아니라 반되들이 주발이었다 하니 알아볼만하다. 이 주량이 소문나자 세조가 불러 막걸리 한 항아리를 내리자 임금이 보는 앞에서 그 항아리를 비웠다한다.
그의 무덤에서 나는 풀뿌리마다 탁주내가 난다던 후세 詩人의 詩가 실감이 날 정도다. 정승 신용개는 언제가 술손님이 없는 밤에 계집종더러 손님 아홉분이 곧 오실테니 아홉동이의 술상을 들이라고 시켰다. 술상을 들이고 후에 가보니 국화꽃 화분 아홉개를 들여놓고 국화꽃과 주거니 받거니하며 혼자 아홉동이술을 다 비우고 있더라했다. 대단한 풍류가 아닐 수 없다.

名相 孫舜孝의 재능을 무척 아꼈던 中宗이 석잔이상 마시면 御命을 어기는 죄로 다스릴것이라 하자 그 三杯酒戒를 지키긴했는데 그 술잔의 크기가 바가지만 했다 한다. 임종에 무덤에다 술한독 묻어달라 해서 더불어 묻었다하니 대단한 애주가가 아닐 수 없다.

막걸리가 우리 한국인의 주체적 술임을 새삼 논할필요가 없다. 막걸리에 五德이 있는데 醉氣가 심하지않고 또 길지 않으며 추위을 덜어주고 일하기 알맞게 해주며 허기를 달래준다는 것이 그것이다.

그맛도 입에 잘붙어 이미 옛중국이나 일본에서 소문나 있는 수출상품 또는 보세가공 상품이었다.

이미 漢나라때부터 樂浪酒라하여 朝鮮의 재래酒가 중국의 詩文에 오르고 있고 梁나라때 기록을 보면 지금 江蘇省曲阿 에 高麗山이라는 산이있는데 고구려여인이 그아래서 술을 빚었다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했다.

그후 유명해진 曲阿酒의 뿌리는 바로 고구려의 막걸리였던 것이다. 唐나라 詩人 李商隱이 한잔 新羅酒 의 기운이 새벽바람에 사라질까 두렵구나좦고 읊은 것으로 미루어 한국의 토속술이 중국에서 얼마나 값지게 여겨졌던가를 실감케 해주고 있다.

일본에서 받들어 모시는 酒神이 수수코리(須須保利) 인데 바로 막걸리를 일본에 전래시킨 백제 사람이다. 서기 300년 전후하여 일본에 건너간 수수코리가 누룩을 써서 백제酒를 빚어 당시 應神天皇에게 바치자 이에 취해 다음과 같은 시를 남기고 있다.

수수코리가 빚어준 술에 내가 취했네. 마음을 달래 주는 술 웃음을 불러 일으킨 술에 내가 취했네일본의 淸酒-濁酒-糟酒의 뿌리가 바로 이 百濟酒였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百濟酒가 일본에 건너간지 1천6백여년후의 작금에 다시 한국막걸리가 일본에 수출됐다하니 무상하지 않다는 느낌이 든다. 한말 서울에와 살았던 미국인 헐버트가 조선막걸리을 두고 植物性음식을 주로먹는草食民族에게 이 처럼 십상이고 발달된 술이 없다했는데, 그 막걸리의 眞價가 국제화사회에서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한 증거로 받아들이고 싶다.

막걸리와 대포문화
맥주잔은 크고, 양주잔이 작듯이 독한술을 마시는 나라의 술잔일수록 작고 약한 술을 마시는 나라 일수록 술잔이 커진다. 막걸리는 알콜도수가 낮은 술이다.

따라서 우리 한국의 술잔들은 상대적으로 클수밖에 없다.이 세상에서 가장 큰 술잔으로 손꼽히는 대포(大匏)가 우리 술잔인 것도 이때문 이다. 대포는 큰 바가지술잔이란 뜻이다. 경주 신라고분에서 커다란 바가지 모양의 도포(陶匏)가 출토되고 있음을 미루어 대포의 뿌리는 유구하다.

경주 포석정(鮑石亭)의 곡수(曲水)위에 잔을 띄 워 군신(君臣) 이 한 잔 술을 번갈아 마시며 동심일체를 다졌던 바로 그 술잔도 대포였을 것이다. 한솥밥 나누어먹고 정리(情理)를 다지듯이 한잔술 나누어마시고 의리(義理)를 다졌으며 그 공동체 운명을 확인하는 의식용(儀式用) 술잔이 대포요,대포에 담는 의식용 술을 막걸리이게 마련이었다.

세조(世祖)는 여진족을토벌하러 함경도로 떠나는 체찰사(體察使) 신숙주를 편전헤 불러 놓고 궁벽(窮僻)을 타고 오르는 박덩굴을 가리키며 저덩굴에 박이 여물때까지 오랑캐를 평정하겠는가고 물었다. 전승(戰勝)하고 돌아왔을때 그 덩굴에 달덩이 같은 박이 여물었고 세조는 그 박으로 대포를 만들어 막걸리를 가득 붓고 한잔술에 입을 번갈아 대며 취하도록 마셨다고 한다.

이처럼 동심일체(同心一體)를 다지는 의례의 술잔으로서의 대포문화는 다양하게 발달하고 있다.

옛날 각관청마다 한말들이 대폿잔을 만들어 두고 돌려 마시며 공동체의식을 다지는 의식이 제도화돼 있었다. 사헌부(司憲府)의 대포는 아란배(鵝卵杯), 교서관(校書館)의 대포는 홍도배(洪桃杯), 예문관(藝文館)의 대포는 벽송배(碧松杯)란 대폿잔 이름이 붙어 있었다.

시사(詩社)라 하는 풍류모임에서는 연종배(蓮鍾杯)라하여 널따란 연잎을 접어 잔을 만들고 막걸리를 담아 연경(蓮莖)속으로 구멍을 뚫어 코끼리코처럼 굽혀 들고 돌려마셨으니 이는 식물성대포다. 화혜배(花鞋杯)라하여 기생의 꽃신에 술을 담아 돌려마시기도 했으니 이는 살냄새풍기는 동물성 대포랄 수 있고…. 대단한 대포문화가 아닐수 없다.

그리하여 생사고락을 같이 하기로 약속된 사이를 대포지교(大匏之交)라 하기까지 했다.

대포의 술이 막걸리이 어야했던 이유는 막걸리가 남녀노소 신명(神明)누구나 마실 수 있는 술이라는 보편성과 약주(淸酒)를뽑아내지않고 막거른 술이기에 순수천진하다하여 신인결합(神人結合)하는 신주(神酒)로서 쓰여왔기 때문인 것이다. 수십년가 상실했던 쌀막걸리가 재등장하고 있다.

그 막걸리와 더불어 상실했던 대포의 정신문화도 부흥 했으면 하는바람이다.

三道酒
술의 맛과 멋을 아는 옛선비들은 三道酒라는 술을 즐겨 마셨다.
그렇다고 무슨 神仙들이 마시는 술이 아니다. 역시 쌀과 누룩으로 빚은 술이라 사람사는 마을에 없는 곳이 없었다. 바로 쌀막걸리를 그렇게 불렀다. 그런데 三道酒라는 이름이 재미있다.

연유인즉, 仲尼(孔子) 先生이 정성들여 가꾼 쌀과 老聃 (노담·老子)翁이 손수 만든 누룩으로 悉達多(실달다·釋迦) 上人이 길어 온 샘물로 빚은 술이라 해서 그런 이름을 붙였다. 얼마나 멋진 이름인가. 우리의 國酒라고 해도 좋은 쌀막걸리가 10년만에 다시 부활, 11일부터 일부 지방에서 市販에 들어갔다. 서울에는 2월중순께 첫선을 보일 모양이다.

그뿐아니라 요즘은 燒酒같은 毒酒가 많이 나와 時俗도 적잖이 바뀌었지만 그래도 農村에서는 아직도 農酒라는게 있다. 농민들이 모내기를 하다가 허기나 갈증을 느끼면 으례 꿀꺽 마시는 것을 보면 절로 군침이 돈다. 농민들이 새참으로 막걸리를 드는 이유가 있다. 굳이 술값이 싸서만은 아니다.

막걸리에는 0.8%가량의 有機酸이 포함돼 있어 갈증을 없애주고 新陳代謝를 원할이 해준다 막걸리에는 人體에 필요한 갖가지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갔다.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막걸리에는 3%의 단백질과 8종의 필수 아미노酸, 비타민B1, B2는 물론 콜린이란 물질이 들어있어 肝에 대한 부담을 덜어준다.

그래서 시골에서는 매일 막걸리를 마시고도 長壽하는 사람이 많다. 一說에 의하면 燒酒나 위스키같은 毒酒는 불만과 변혁을 바라는공격적 성향의 사회에서 즐겨 마시고 와인이나 막걸리 같은 순한술은 정착과 안정을 희구하는 평화지향의 사회에서 즐겨 마신다고 한다. 우리 사회의 경우만 하더라도 6·25전쟁직후는 물론 4·19, 5·16 그리고 5共非理가 한창 성행하던 변혁과 불만의 시절에 燒酒의 소비가 급격히 늘어났었다.

때마침 飮酒운전단속이 크게 강화되고 游興街의 深夜영업이 금지 되었다. 따라서 쌀막걸리의 출현으로 우리의 飮酒文化가 새롭게 정착되었으면 좋겠다.

술잔
술잔이나 술병, 술통하면 유리 그릇이나 질그릇-사기그릇을 연상하지만 별의별 소재의 술그릇이다 있었다.

대포집…하는 대포는 큰 다가지잔이란 뜻이다. 대포는 동심일체을 다질 필요가 있는 사람끼리 한잔술을 돌려 마셨던 순배(巡杯)잔이었다. 경주 포석정(鮑石亭) 같은 곡수(曲水)에 잔을 띄워 돌려마시는 순배잔으로는 물에 뜨는 이 바가지잔이 십상이었을 것이다.

벽통배(碧筒杯)라하여 연(蓮 )잎으로 술잔을 만들어 마시기도 했다. 넓은 연잎을 원추형으로 말아 술을 담고 엽경(葉莖)을 통해 흐르는 술을 마치 코끼리 코처럼 들어올려 빨아마셨던 것이다.

연(蓮)의 향내음도 스미고 술이 차가워지기도 하여 삼복(三伏)의 술잔으로 선호되었던 잎잔(葉盞)이다.

죽통주(竹筒酒)라는 대나무잔도 있었다. 살아있는 대의 굵은 부분을 잘라 술밥과 곡자의 물을 붓고 파초잎으로 싸서 묶어둔다. 술이 익으면 구 대마디(竹節)째 잘라 들고 마셨으니 풍류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대나무 대신 소나무 주기 (酒器)로 빚어 마신 술이 와송주(臥松酒)다. 와송(臥松)에 구멍을 파 그안에 술을 빚고 소나무로 마개를 만들어 막아둔다. 술이 익으면 그 부위를 잘라 들고 와서 마셨던 것이다.

이상은 식물성 주기(酒器)들이다. 양귀비 언니인 괵국부인은 잔치 벌어지는 대청 대들보에 사슴창자를 걸어놓고 그 창자에 술을 채워 따라마시게 했으니 이를 동천병(洞天甁)이라 했다. 또 기방에서는 마음을 사고 싶은 기생이 있으면, 그 기생의 가죽신을 갖고 들라고하여 그것에 술을 따라 마셨으니 이는 신발잔이다.

복종을 맹세하거나 아부하는 뜻에서도 윗사람의 가죽신에 술을 따라마시는 사례(史例)도 찾아볼 수 있다. 가장 신나는 술잔은 손바닥잔이다. 옛날 서울에는 젊은 과부가 차린 내외(內外)술집이라는게 있었다.

내외법은 지켜야하기 때문에 주모인 과부는 손님앞에 나타나지 못하고 팔뚝만 내어밀어 술상을 내고, 또 술값도 내어민 손바닥에 놓아받았다. 그래서 속칭 팔뚝술집 이라고도 했다.

술값을 놓을 때 행하(팁)를 두둑하게 얹어놓고 기다리고 있으면 과부는 손바닥에 술을 담아 내어민다.

그 손바닥술을 핥아 마시는 맛에는 짜릿하게 자기(磁氣)가 통했음직하다.

막걸리 문명론

위스키나 소주같은 독한 술은 떠돌며 사는 動적인 移動-變革사회에서 즐겨마시고, 와인이나 막걸리 같은 순한술은 한곳에 박혀사는 靜的인 定着-安定사회에서 즐겨마신다고 한다.

빅토리아王朝의 영국 사람들이 해적들이나 마시는 독한 램酒를 선호했던 것은 그때가 바로 왕성한 海洋식민시대였기 때문이요, 루이 14세王朝의 프랑스 사람들이 순한 와인을 선호했던 것은 안정된 農耕생활을 배경으로 예술이 꽃피기 시작한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서부개척시대에 선호됐던 미국사람들의 위스키와 서부시대가 끝난 후에 선호했던 위스키의 酒精度數는 15~20도나 낮아졌다는 연구도 있다. 따라서 어떤 나라에서 어떤 시기에 어떤 술을 즐겨 마시느냐로 그 시기가 移動-變革- 不安한 動적시기인가, 定着-保守-安定된 靜적시기인가을 가름하는 문명의 척도를 삼기도 한다.

이 문명의 논리를 우리나라에 적용한다면 몽고침략시기에 소주를 막걸리보다 많이 마셨다 했고, 麗末鮮初의 변혁기에도 소주를 많이 마셔 燒酒從이란 불량배가 판치기까지 했다.
6·25전쟁후에 서서히 막걸리 소비량이 줄고 소주 소비량이 상승한 것은 米穀정책에 따른 막걸리 맛의 저질화에도 이유가 있겠으나 그 시기가 정착된 農耕시대에서 都市化-核家族化-産業化-大量生産시대로 옮겨가는 大變革시기가 시작되었다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은것 같다.

흥미있는 것은 일본사람들의 술에 대한 기호 변천이다. 일본 근대사에서 사상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국력측면에서 대변혁이 일어났던 것은 明治維新 이후와 2차 대전-한국전쟁 이후다.

남부지방에서만 마시던 아와모리 소주가 전국적인 술로 확대된 것이 바로 明治시대이며, 일본 사람에게는 낯선 洋酒가 급작스레 보편화-몇개 양주재벌이 생기게 한것은 전후시대다.

한데 근년에 洋酒人口가 대폭 소주人口로 흡수되는 바람에 양주업계가 斜陽에 접어들고 그 소주도 물이나 토닉워터로 주정도를 약화시켜 마시는 풍조가 지배 하더니 드디어는 정착사회의 전형적인 술인 우리한국의 막걸리수입을 모색하고 있다고 하니 무상하다 술의 文明論으로 따져보아 일본사회는 변혁시기에서 안정시기로 접어드는 조짐이 드러나고 있다. 할 수 있다.

일본에도 니고리사케(濁酒), 도부로구(濁膠), 모려미(毛呂美), 가즈고메(加順 古女 )라하여한국것과 같은 막걸리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문헌에서만 찾아볼수 있는 술이되고 만것이다. 唐나라 시인 杜甫도 막걸리의 文明論을 터득했음인지 그 濁酒詩에서술에는 민심의 靜動을 헤아릴수 있는 妙理가 있다했는데 일본의 막걸리 輸入에서 그 妙理를 읽을 수 있을것만 같다.

자스민 막걸리

中共연변의 한국인 自治州에서 말리꽃막걸리를 개발, 北京 天津등 중공의 주요도시에서 크게 인기를 얻고 있다고 외신이 전하고 있다. 우리 전통적 꽃술(花酒)은 진달래술(杜鵑酒),복사꽃술(培花酒), 매화주(梅花酒), 연꽃술(連花酒),국화주(菊花酒)가 있고 백화주(百花酒)라하여 매화, 동백, 복사, 살구, 연꽃, 구기자꽃, 냉이꽃, 국화등, 독이없는 꽃잎을 말려두었다가 술과 더불어 빚기도 했다.

이 꽃술(花香酒)에 관한 문헌들을 뒤져 보았지만 중공에서 각광받는다는 말리꽃술은 찾아볼 수 없고 다만 독이 없고 향내가 있는 꽃은 모두 꽃술이 된다고 했으니, 어느 지방 어느 가문에 비전(秘傳)돼 내린 말리꽃술을 재생시킨 것이 아닌가 싶다. 말리꽃-흔히 들어보지않았던 예쁜 꽃이름이다.

한문으로 茉莉, 洋말로는 쟈스민이다. 1m남짓 자라는 常綠의 灌木으로 다섯쪽으로 깨어진 희고 누런 통꽃이 피는데 소박한 생김새에 비겨 향내가 매혹적이다. 중국에서는 이꽃을 素整이라고도 하는데, 별반 예쁘지도 않으면서 많은 사람을 매혹시켜 유명한 중국의 女人이름이다.

말리꽃에 걸맞는 호칭이다. 니체, 바그너, 로망롤랑등 19세기의 천재들이 한결같이 戀慕했고, 그들 마음을 사로잡았던 말이다. 폰 마이젠부르크라는 여인이 있었다. 백작이나 공작부인도 이니요, 또 돈이 많아 이들을 뒷받침해준 패트론도 아니요, 얼굴도 별반 예쁘지않은 여인이었다.

한데 어떤 뭣으로 그 세기적 천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을까-. 말비다의 마음에서 풍기는 쟈스민(말리꽃)향기가 나를 못견디게 한다고 로망롤랑이 말해놓고 있다. 말리꽃은 반드시 예쁠 필요가 없는 이상적 여인상의 具象인 것이다.

우리 옛여인들이 이말리꽃물을 증류해서 화장수를 만들어 쓰기도 했고 面脂에 섞어 얼굴에 바르기도 했다. 소녀들은 말리꽃 목걸이을 만들어 목에 걸고 다녔고-. 또 봉선화처럼 이 꽃으로 손톱에 물을 들였으니 쟈스민매니큐어랄 것이다. 현대화된 매니큐어로 개발해봄직하다. 꽃뿐아니다.

연한 잎을 따서 기름장에 발라구우면 말리구이로 향긋한 반찬이 되고 또 잎을 데치어 장 기름 깨소금양념과두 부를 섞어 말리채(菜)를 만들어 먹기도 했다. 말리 뿌리는 전통적 마취제로 썼다. 뿌리 1才를 술에 갈아마시면 昏迷1日이요, 2才를 술에 갈아마시면 昏迷2日한다하여 整骨을 할때 이 말리마취를 했으니,이역시 현대의학이나 약학에서 추구해봄직한 소재라고 본다.

대규모 국제행사을 두고 土酒가 없어 고민하고 있다던데 세상사람들이 고루 좋아하는 이 쟈스민 막걸리를 개발해보는것도 좋을것 같다.

時에나타난 막걸리

高句麗酒와 新羅酒는 고대중국에서 맛좋은 名酒로 소문나 있었다.

唐나라때 시인 李商隱이 한잔 新羅酒의 기운이 새벽 바람에 수이 사라질까 두렵구나고 읊은걸보면 알만 하다. 또 일본 古代기록에 보면 일본에 술빚는 법을 처음 알려준 것이 백제사람 仁香이라고했다.

이 유명했던 삼국시대의 술들이 지금의 약주나 막걸리였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으나 문헌상 누룩으로 담는 양조주라는 것만은 추정 할 수 있다. 막걸리가 문헌에 등장한 것은 고려때부터다.

李奎報의 시에 나그네 창자를 薄 酒로푼다는 대목이 있고, 李達哀의 시에 뚝배기 질그릇에 허연 막걸리라는 대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예나 지금이나 서민의 술로서 막걸리 이미지는 불변임을 알 수가 있다.

고려때시인 尹紹宗의 다음시에서는 막걸리에서는 막걸리에 얽힌 뼈아픈 가난이 感電되듯 엄습해온다.
슬프도다 유월에 심은 조 익으려면 멀었는데
아이들은 병들어 나무뿌리 씹고있다
천장을 보고 누워 한숨만 쉬고 있는데
아낙은 머리털 잘라 술지게미와 바꿔온다
그나마 쉬어서 먹을수가 없고녀

술지게미는 막걸리를 거르고 난 찌꺼기인것이다.
술의 語源은 梵語에서 쌀로 빚은 술을 뜻하는 sura에서 비롯됐다고 본다.

따라서 어원상 穀酒를 뜻하며, 곧 막걸리의 조상인 셈이다. 곡주가 익으면 淸酒와 술지게미를 나누기 이전에 막 걸러서 만든 술이라 해서 막걸리다. 문헌에는 濁酒 白酒 薄酒로 나오고, 母酒라고도 했다.

비운의 仁穆大妃에 연루되어 제주도에 유배 당한 대비의 어머니 鄭氏부인이 술지게미를 재탕한 막걸리를 섬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던 것이 연유가 되어 왕비의 어머니가 만든 술이라해서 母酒라 불렀다고 한다.

이 너무나 한국적이고 서민적인 막걸리가 성인병의 가장 큰 원흉인 혈액속의 低血糖値를 높여준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래서 막걸리의 原酒를 藥酒라고 불렀던걸까. 선조들의 슬기에 마냥 숙연해진다.

斜陽길걷는 막걸리 이미지에 뭣인가 변화를 주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출처 : http://www.koreawine.co.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